공선출하회 육성
- 공선출하회 개념
- - 공동선별 공동계산 전속 출하조직의 약칭으로 농협과 농가간 출하계약에 의해 계획생산, 공동선별, 공동계산 실천을 의무화 하는 전문화된 회원제 출하조직
- 공선출하회 육성방향시장지향적 계획생산 ↔ 계획판매 체계의 실천조직으로 육성
- - 고품질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는 전문화된 조직
- - 품목 중심 1품목 1조직으로 결성된 규모화된 조직
- - 출하계약을 통한 계열화 참여 조직

- 출하계약을 통한 수직계열화 추진
- 출하계약은 조합과 개별 회원농가간 직접 체결
- 출하계약을 체결한 농가에만 출하권 부여하고 각종 지원
- 출하선도금, 공선비 국고보조, 중앙회 지원 등
- 계약이행을 강제할 수 있는 출하계약 체결
- 계약이행보증금, 가입비, 월회비, 기금 등 적립
- 출하계약 위반 시에는 보증금 환수, 위약금 징수 등 조치
- 공동출하회 중심의 조합단위 공동선별․공동계산 실시
- 공동계산을 실시하는 농가의 공선출하회 참여 적극유도, 회원농가는 출하계약에 따라 농산물 수확 후 농협에 출하조합 주관으로 선별단 운영, 집하 실시 및 농협 선별(등급) 기준을 적용하여 선별, 포장 등 상품화
공동선별·공동계산
- 공동출하회 중심의 조합단위 공동선별․공동계산 실시
- - 공동계산을 실시하는 농가의 공선출하회 참여 적극유도, 회원농가는 출하계약에 따라 농산물 수확 후 농협에 출하 조합 주관으로 선별단 운영, 집하 실시 및 농협 선별(등급) 기준을 적용하여 선별, 포장 등 상품화
공동계산의 이해
- 1. 개념
공동계산(pooling)이란 『다수의 개별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을 등급별로 구분․관리하여 판매한 후 그 등급에 따라 비용과 대금을 평균하여 농가에 정산하는 방법
- 1) 농협이 주체가 되는 진정한 판매사업
- 2) 다수 농업인의 참여
- 3) 농협의 통일된 선별기준에 따른 공동선별
- 4) 공동판매
- 5) 다양한 공동판매 기간 설정
- 6) 등급별 가격차에 따른 계산방법
- 2. 필요성
- 가. 농협의 판매사업 역할 강화
- 나.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 생산
- 다. 까다로운 대형유통업체의 납품조건
- 라. 일정 물량의 지속적인 출하
- 마. 브랜드를 만들고 관리
- 3. 효과
- 가. 품질관리 기능 강화
- 나. 개별농가의 위험 분산 및 농가소득 안정에 기여
- 다. 노동력 절감 및 재배면적 확대에 기여
- 라. 시장교섭력 증대 및 유통비용 절감
- 마. 농협의 판매사업 역량 제고
남청송농협 공선회 현황
지역 | 참여회원 | 취급물량(20년) | 취급수수료 |
---|---|---|---|
현동면 | 89명 | 94,100상자 | 6% |
안덕면 | 49명 |
(기존 작목반(회)과 공선출하회 비교)
구분 | 작목반(회) | 공선출하회 |
---|---|---|
기능 | 생산, 시설운영, 판매 | 생산(농산물 품질 상향 평준화) |
지역범위 | 마을단위(품목별 다조직) | 산지농협(APC)단위(품목별 1조직) |
참여방법 | 작목반원의 동의 | 농협심사 및 출하계약 |
계약위반제재조치 | 없음 | 있음 |
사업참여 의무 | 없음 | 있음 |
구성인원 | 평균 25명 | 평균 100명 내외 |
회원자격 | 제한없음 | 일정 영농규모 이상, 일정 영농기술수준 이상 |
품질관리 | 자체기준 | 산지농협에 의한 시장지향적 기준 적용 |
의사결정 | 작목반 구성원 의사결정 | 농협에서 의사결정 |